단선, 누전, 합선 전기용어 이해
오늘은 전기 용어인 사고시 발생하는 누전, 단선, 합선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누가 물어보면 알고 있으면서도 선뜻 쉽게 대답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쉽게 내용 정리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 누전이란?노후 또는 파손된 전선이 있을 때 대지(땅) 혹은, 금속체 사이로 전기가 새어 나가는 상태를 누전이라고 합니다.전기가 정해진 선로로 정상적으로 흘러야 하는데, 이 전기가 물이 새듯이 다른곳으로 새는경우에 누전이라고 하는데, 이 상태에서 사람이 감전되거나 누전 부분에 인화성 물질이 있다면 열이 발생되어 화재가 발생이 됩니다.이러한 경우 정격용량의 누전차단기(ELB)를 설치하여야 하며, 접지선으로 접지를 잡으면 감전에 의한 사고나 화재사고가 어느정도 예방되니, 반드시 기기 혹은 전기류의 부품에 접지를 잡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