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9

분전함(분전반) 점검 확인사항(매립형,노출형)

​▶ 분전함 점검사항 - 차단기 1차 부스바 연결부 확인 (접촉 불량시 검은색으로 변색.열화)​ - 차단기 1차 2차 나사 조임 (장갑끼고 드라이버 테이핑후 활선에서도 조임가능-1~2년 1회)​ - 누전차단기 TRIP 버튼 눌러서 TRIP여부 확인(트립 안될시 고장)​ - 접지선 연결여부 확인 (가끔 접지공사 빠진경우 있음)​ - 차단기 2차 전선빠짐 확인 (손으로 약간의 힘을주고 잡아당김) - (변색, 열화 확인) 차단기 본체, 연결 부스바, 1차~2차 나사​ - 차단기 Trip 여부 확인 (ON. OFF 손잡이 중간 위치시 트립된것임)​ - PT Fuse 있을시 휴즈 손상여부​ - 전류계, 전압계,역률계 부착시 정상수치 확인

전기 2024.10.22

수배전반 정전작업시 점검사항(LBS,VCB,ACB,변압기,차단기,콘덴서

▶ LBS - 수동, 자동 개폐여부(수동 핸들 비치여부) - 칼날 접속부 마모, 열화여부​▶ VCB / ACB - ON/OFF 작동여부 - 분진에 의한 접속부(크래들)의 탄화,변색,소음이 없는지 확인​▶ 변압기 - 1,2차 부스바(케이블) 및 OC동선 체결나사 조임여부 - 바닥 고정용 앙카 고정나사 조임여부 - 진동 방지용 바닥 고무PAD(4개소) 마모 여부​▶ 차단기 - 1차 2차 나사조임 - 2차측 전선 터미널 압착부 느슨한지 확인 - 열화 변색여부 확인​▶ 콘덴서 - 앞,뒤 배불림(팽창) 여부확인(고장 방치시 역률 저하로 추가요금 발생) - 콘덴서에 적힌 전류 값 확인후 각 상별 전류값 근사치 확인(20% 이상 차이 발생시 교체)

전기 2024.10.22

발전기 [비상출력/상용출력/연속출력]

▶비상출력(STAND BY:10분간 출력을 나타내는 단위-STAND BY : 625 / 500 KVA/KW) 500KW 비상발전기일반적인 전기가 고장이나 사고로 정전이 되었을 때 말 그대로 비상용 전원을 공급할 때 필요한 전력입니다.그러니 이 전원이 비상용이기 때문에... 정말 정전이 되면 위험한 설비에 적용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과부하 운전 적용이 안된다는 의미입니다.아래에 설명된 대로 사용시간이 사용출력 보다는 짧다는 의미 입니다.비상출력은 상용전원(Normal Power)이 정전되어 있는 동안 비상용 전원을 공급 하는데 적용되며 과부하(Over load) 운전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 출력은 신뢰성이 높은 상용 전원을 보조하는데 적용되며, 년간 최대 200시간 운전 한도 내에서 평균 부하율이 비상출력..

기계 2024.10.22

단선, 누전, 합선 전기용어 이해

오늘은 전기 용어인 사고시 발생하는 누전, 단선, 합선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누가 물어보면 알고 있으면서도 선뜻 쉽게 대답 못하는 경우가 있는데쉽게 내용 정리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 누전이란?노후 또는 파손된 전선이 있을 때 대지(땅) 혹은, 금속체 사이로 전기가 새어 나가는 상태를 누전이라고 합니다.​전기가 정해진 선로로 정상적으로 흘러야 하는데, 이 전기가 물이 새듯이 다른곳으로 새는경우에 누전이라고 하는데, 이 상태에서 사람이 감전되거나 누전 부분에 인화성 물질이 있다면 열이 발생되어 화재가 발생이 됩니다.​이러한 경우 정격용량의 누전차단기(ELB)를 설치하여야 하며, 접지선으로 접지를 잡으면 감전에 의한 사고나 화재사고가 어느정도 예방되니, 반드시 기기 혹은 전기류의 부품에 접지를 잡아..

전기 2024.10.22

역전력계전기(32P) 사용 장소와 뜻

역전력 계전기는 주로 태양광 발전설비에 주로 많이 사용한다.태양광 역전력계전기는 태양광 발전으로 생성된 전기가 전력계통으로 들어가면 감지하여 차단하는 장치이다. 태양광 발전에서 생성된 전기가 자체에서 소비하고 부족한 전기는 전력계통에서 수급 받는다. 자체 소비 전력이 작으면 남는 전기가 전력계통으로 들어가는데 역전력 계전기는 이를 차단한다.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83조에는 50kW를 초과하는 단순 병렬운전 분산형 전원에는 역전력 계전기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분산형 전원으로부터 전기사업자의 전력계통으로의 간헐적이고 예상되지 않는 역전력 유입을 제한하여 계통의 이상 전압 상승, 주파수 변동 등의 문제를 막기 위해서이다. 다만, 설비용량 50 kW 이하의 현장에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전기 2024.10.22

광전식, 차동식, 정온식 감지기 차이 및 쉽게 구별하는법

1.감지기별 차이점 광전식은 연기를 감지, 차동식은 온도차에 따른 감지기이며, 정온식은 특정 온도에 도달했을 때 작동하는 차이점이 있음♤ 광전식 감지기 - 연기♤ 차동식 감지기 - 열♤ 정온식 감지기 - 온도차   2.감지기 구별법제품마다 상이하나, 대표적으로 베이스 색깔로 구분하며, 노란색, 파란색은 정온식임♤ 정온식 감지기 - 베이스 노란색 70°C♤ 정온식 감지기 - 베이스 파란색 110°C

소방 2024.10.22

전기 설비 보호계전기 동작특성 반한시, 순한시, 정한시가 뭐죠?

보호계전기의 동작시한에 따라 4가지 특성으로 분류해 봤습니다. ㅇ 반한시 계전기​정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동작 시간이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반비례하는 특성값을 가진 계전기로즉, 전류값이 클수록 동작 시간이 짧아지고, 반대로 전류값이 적으면 동작 시간이 길어지는 계전기 임​ㅇ 순시(순한시) 계전기​정정된 최소 동작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즉시 동작하는 것으로 동작 전류의 양과는 관계가 없고 일반적으로 0.3초 이내에 동작하는 것을 말하며, 0.5~2 사이클 이내에 동작하는 고속도 계전기 임​ㅇ 정한시 계전기​정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동작전류의 크기와 관계없이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동작하는 계전기 임​​ㅇ 반한시성 정한시 계전기​정한시 계전기와 반한시 계전기의 특성을 조합한 것으로 어느..

전기 2024.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