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계전기의 동작시한에 따라 4가지 특성으로 분류해 봤습니다.
ㅇ 반한시 계전기
정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를 때 동작 시간이 전류의 크기에 따라 반비례하는 특성값을 가진 계전기로
즉, 전류값이 클수록 동작 시간이 짧아지고, 반대로 전류값이 적으면 동작 시간이 길어지는 계전기 임
ㅇ 순시(순한시) 계전기
정정된 최소 동작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즉시 동작하는 것으로 동작 전류의 양과는 관계가 없고
일반적으로 0.3초 이내에 동작하는 것을 말하며, 0.5~2 사이클 이내에 동작하는 고속도 계전기 임
ㅇ 정한시 계전기
정정된 값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동작전류의 크기와 관계없이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동작하는 계전기 임
ㅇ 반한시성 정한시 계전기
정한시 계전기와 반한시 계전기의 특성을 조합한 것으로 어느 전류값까지는 반한시성 이지만, 그 이상이 되면 정한시로 되는 것으로 사용상 가장 적절한 한시특성 계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전함(분전반) 점검 확인사항(매립형,노출형) (2) | 2024.10.22 |
---|---|
수배전반 정전작업시 점검사항(LBS,VCB,ACB,변압기,차단기,콘덴서 (0) | 2024.10.22 |
고압설비 기본점검[피뢰기.변성기.전력퓨즈.변압기] (0) | 2024.10.22 |
단선, 누전, 합선 전기용어 이해 (0) | 2024.10.22 |
역전력계전기(32P) 사용 장소와 뜻 (0) | 2024.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