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7

SNS란 SNS약자

요즘 방송이나 매체에서 SNS란 말이 자주 나오는데 한번 찾아 봤습니다.♤개요웹2.0의 대표적 산물로서, 개별 유저들의 프로필, 창작 콘텐츠 등을 통하여 쌍방 공유 기능을 갖춘 서비스를 통칭한다.♤ 명칭SNS'는 'Social Network Service(또는 Social Networking Service)'의 약자이며 한국에서는 거의 대부분 이 표현을 사용한다. 잘 모르는 사람들은 'SNS' 또는 'Social Network Service'가 콩글리시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지만, # 실제로는 제대로된 영어 명칭이 맞으며 콩글리시가 아니다. 2000년대의 영미권에서도 'Social Network Service'라는 표현을 많이 썼다.

유익한 정보 2024.11.17

AF(암페어 프레임), AT(암페어 트립) 의 차이점

1. AF(암페어 프레임) : 차단기의 크기를 나타내는 것이며, AF는 Ampere Frame의 initial 입니다. Frame의 사전적 의미는 뼈대, 구조, 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Frame 용량은 일반적으로 30, 50, 60, 100, 225, 400, 600, 800, 1000, 1200등으로 생산됩니다. Trip치에 관계없이 이들 각각 규격의 size는 제조사 마다 동일합니다.( Ex : 100AF/100AT 과 100AF/75AT의 외형크기는 동일) 2. AT는 Ampere Trip의 initial로서 규격은 일반적으로 15, 20, 30, 40, 50, 60, 75, 80, 100, 125, 150, 175, 200, 225, 250, 300......, 등입니다(이 규격 이상 전..

전기 2024.11.13

정류기반 사용목적 배터리 부동충전. 균등충전에 대한 이해

♤사용목적 : 정류기반은 LBS, VCB, ACB, 계전기,계측장비등 조작전원 DC110V를 공급한다. 통상 정류기반 배터리는 연축전지를 사용하고 DC 12V x 9개(108V~120V)나 DC 2V x 55개(110V)를 사용한다. 정전시에도 특고압/저압 차단기 ON/OFF 조작이나 램프 점등 및 계전기를 조작할 수 있게끔 하는것이 가장 큰 목적이며, 정전시 DC 비상 전등도 켤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부동충전:통상 9개의 배터리를 장기간 사용하면 9개의 배터리 전압이 모두 달라진다. 이럴때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진 배터리를 충전하는 것을 부동충전이라 한다. ♤균등충전:각각 달라진 배터리 전압을 모두 일치하도록 한꺼번에 균등하게 충전하는 방식을 말한다. 평상시에는 부동충전을 하지만 2~3개월에 ..

전기 2024.11.12

전기에서 과전류란?

전기 콘센트에 너무 많은 전열기를 꽂아서 사용하면 과전류로 콘센트 전선이 뜨거워지게 된다. 이처럼, 허용전류 이상으로 흐르는 것을 과전류라고 하는데, 실수로 많은 전기기계를 사용한 경우이거나 , 전선피복이 벗겨져서 +, - 가 서로 붙은 합선상태의 개념도 포함된다. 합선과 구분을 짓기 위해서 실수로 많은 전기기계를 사용하는 경우를 과부하라고 용어를 쓰겠다. 전류가 흐르는 양이 적은 순서는 정상허용전류 이내 < 누전 < 과부하< 합선 과부하는 허용전류보다 약간 넘는 수준이지만 합선은 그것의 약 100배 높은 전류가 흐른다. 예를들어 허용전류 40A, 누전 41A, 과부하50A, 합선 5000A 정도가 흐르게 된다.

카테고리 없음 2024.11.11

지상역률, 진상역률에 대한 이해

1. 통상 배전반/분전반 아날로그 계기판 역률계를 볼때 1이하면 지상, 1이상 넘어가면 진상 입니다 ​ 2. 디지탈 역률 계측기는 +95면 지상(LAG:뒷 처지다) / -95면 진상(LEAD:앞서다) 입니다(95 숫자는 임으로 쓴것임) ​ 3. 통상 한전 진상역률 적용시간은 23시~익일 09시까지임 * 진상요금 많을 시 타이머+마그네트 써서 콘덴서 ON/OFF 회로 구성 권장 → 역률계 1이하면 지상(0.9 이하면 콘덴서 타이머 ON), 1이상 넘어가면 진상 입니다(콘덴서 타이머 OFF 여부 판단) → 참고적으로, 역률 지상 0.95~0.1 역률 범위안에 들면 한전 할인적용 됩니다.

전기 2024.11.10

겨울철 농막 관리, 동파 방지 예방법

이제 겨울이 다기오고 있습니다. 겨울철 영하 10~20도의 날씨면 하루만 깜빡해도 수도가 얼어버리기 때문에 매일매일 관리를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겨울 내내 농막을 사용하지 않았다가 봄에 가보면 파이프가 얼어서 터지는 바람에 이곳저곳 누수가 생기는 경우도 있거든요 미리 신경 쓰시면 좋겠습니다. 동파를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요? 상황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는데요 1. 겨울에는 농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2. 겨울이라도 자주 가서 농막을 사용하는 경우 우선 첫 번째 경우로 겨울에는 농막 사용을 안 하실 계획이시라면 물을 완전히 빼 버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물을 빼는 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 먼저 수도 계량기나 지하수 모터 쪽으로 가서 수도 인입선을 잠근 후에 실내에서 물을 빼면 되는데요 싱크..

유익한 정보 2024.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