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기 [비상출력/상용출력/연속출력]
▶비상출력(STAND BY:10분간 출력을 나타내는 단위-STAND BY : 625 / 500 KVA/KW) 500KW 비상발전기
일반적인 전기가 고장이나 사고로 정전이 되었을 때 말 그대로 비상용 전원을 공급할 때 필요한 전력입니다.
그러니 이 전원이 비상용이기 때문에... 정말 정전이 되면 위험한 설비에 적용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과부하 운전 적용이 안된다는 의미입니다.
아래에 설명된 대로 사용시간이 사용출력 보다는 짧다는 의미 입니다.
비상출력은 상용전원(Normal Power)이 정전되어 있는 동안 비상용 전원을 공급 하는데 적용되며 과부하(Over load) 운전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이 출력은 신뢰성이 높은 상용 전원을 보조하는데 적용되며, 년간 최대 200시간 운전 한도 내에서 평균 부하율이 비상출력의 80%인 변동부하(variable load)에 적용됩니다.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상용 전원(정전 시간이 길거나 자주 발생하는 상용 전원)의 비상용으로 설치되며 연간 운전 시간이 200시간을 초과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용 출력(Prime Power)을 적용하여야 합니다.
▶상용출력(CONT : 8시간 이상 출력 - 비상출력의 90% 정도)
비상용 출력과 비슷하나... 연간 운전시간이 200시간을 초과할 경우에 상용출력 이라고 봅니다.
상용 출력은 상용전원(Normal Power)을 대신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 적용되며, 변동부하(variable load)에 적용하는 경우
에는 연간 사용시간의 제한이 없으나 무변동 부하(constant load)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사용시간의 제한이 있습니다.
▶연속출력(CONT : 8시간 이상 출력 - 비상출력의 70~80% 정도)
이것은 비상용이 아닌 계속 사용하기 위한 설비에 사용하는 발전기 입니다. 발전기가 부하를 안고 정지되지 않는 상태로 일정한
시간을 연속으로 운전되는 조건으로 연속 출력은 운전 시간의 제한이 없고, 비상 출력 정격의 70~80%의 부하로 연속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합니다. 이 출력 정격에는 어떠한 과부하 용량도 적용할 수 없으며 기초 전력을 위한 운전에 적용합니다.